카테고리 없음

인텔 NUC7에 ESXi를 USB로 설치하고 SSD는 VM 저장소로 활용하는 방법

나도초딩 2025. 4. 13.

NUC7에 ESXi를 USB로 설치하고 SSD는 VM 저장소로 활용하는 방법

1. 개요

소형 서버로 인기가 많은 NUC7에 VMware ESXi를 설치할 때, 운영체제는 USB 메모리에 설치하고, SSD는 전부 가상머신 저장소로 활용하는 구성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그 방법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2. 시스템 구성 요약

  • NUC7 – Celeron J4005, RAM 16GB
  • 운영체제 – VMware ESXi 6.7
  • 설치 위치 – USB 메모리(반드시 8G 이상) USB 메모리에 직접 설치해도, 모든 것을 램에 올려서 실행하기 때문에 부팅 외에는 지장이 없다. NUC7 의 경우, 내부에 하드디스크 1개만 들어가기 때문에, 분리해서 설치하는 것이 백업등을 고려하면 더 안전할 수 있다.
  • 가상머신 저장소 – SSD (VMFS 또는 Passthrough)

3. 왜 USB에 ESXi를 설치하는가?

  • SSD 공간을 100% VM에 할당할 수 있음
  • 운영체제와 저장소 분리로 안정성 증가
  • USB 고장 시 교체 용이 – 백업 USB로 바로 복구 가능

단, USB 수명 문제를 피하려면 반드시 /scratch 위치를 SSD로 변경해야 합니다. (자세한 설정은 아래 참고)


4. 설치 순서

① 좋은 USB 메모리 준비

  • 16GB 이상, USB 3.0 이상
  • 추천 브랜드: SanDisk Ultra Fit, Samsung BAR Plus

② 부팅 USB 만들기

  1. VMware 공식 사이트에서 ESXi ISO 다운로드
  2. Rufus 또는 balenaEtcher로 부팅 가능한 USB 생성

③ ESXi를 USB에 설치

  • 설치할 디스크로 반드시 USB를 선택
  • SSD는 포맷하지 않고, 나중에 VM 저장소로 설정
  • ESXi 설치 중 SSD를 선택하면 → ESXi OS가 설치되며 디스크 전체가 포맷되고, SSD는 **부팅용 파티션 구조 (FAT/EXT 등)**으로 바뀌고 → VM 저장소(VMFS)로 사용하기 어려워짐. 윈도우 PE 같은 걸로 부팅해서, 파티션 다 지워야함.

🔧 우리는 SSD를 ESXi 부팅 디스크가 아닌, VM 저장소로 쓰고 싶은 것이 핵심입니다

④ SSD를 VM 저장소로 포맷

  1. ESXi 웹 UI 접속
  2. Storage → Devices → SSD 선택
  3. New Datastore → VMFS 형식으로 포맷

⑤ /scratch 위치 SSD로 변경 (중요)

  1. Host → Manage → Advanced Settings 이동
  2. ScratchConfig.ConfiguredScratchLocation 항목 검색
  3. 값 입력: /vmfs/volumes/datastore1/scratch
  4. ESXi 재부팅

이렇게 하면 USB는 부팅용으로만 쓰이고, 모든 로그와 캐시는 SSD에 저장됩니다.

인텔 NUC7에 ESXi를 USB로 설치하고 SSD는 VM 저장소로 활용하는 방법 - 4. 설치 순서 - ⑤ /scratch 위치 SSD로 변경 (중요)


5. 추천 가상머신 구성 예시 (16GB RAM 기준)

가상머신 용도 추천 사양
TrueNAS NAS, NFS/Samba 서버 2vCPU / 4~6GB
Ubuntu Docker, 관리자용 2vCPU / 2GB
Plex 미디어 스트리밍 2vCPU / 3~4GB
기타 VM 웹서버, 테스트 등 1~2vCPU / 2GB

6. 결론

NUC7에 ESXi를 USB로 설치하고, SSD는 전부 VM 저장소로 분리하는 구성은 성능, 안정성, 유지보수 면에서 매우 효율적입니다. 특히 RAM이 16GB인 경우, 여러 개의 서버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최적의 개인 서버 환경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가상머신 구성, TrueNAS NFS 설정, Plex 서버 최적화 등도 함께 정리해드릴 예정입니다.


문의나 피드백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