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고/배포(서버 nginx 도커)

점프투장고(2022.8.14-8.21)

나도초딩 2022. 9. 10.

점프투장고(2022.8.14-8.21)  ::: 학습기간 : 4.5일 + 배포 삽질 1.5일

작년에 실패한 후, 볼까말까했던 책인데 ... 다시 보길 잘했다.

되돌아보니, 장고로서는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내용을 다룬 좋은 책인 것 같다.

근데, 어렵긴 어렵다. +_+ 여기 있는 내용을 빠삭하게 하면, 다른 내용들은 쉽게 소화할 수 있을 것 같다.

 

8/14 일 점프투장고 이번엔 제대로 하기로 함.

 

8/15 월

  1. ( 전에 어려워서 중단. ㅠ ) 비교적 빨리 진행되는거 보니 약간 늘긴 늘었나 보다.
  2. 부트스트랩, css 도 가급적 직접 쳐보기로.
  3. 폼 수작업. 페이지네이터에서 3-4시간 주화입마에 빠짐. 사실은 간단한 거였는데. ㅠㅠ
    1. 답변등록 학습하면서, foreignkey 에 등록할 때, 객체로 입력하는 것을 처음 생각함.
      클래스형뷰를 하다보니, 이렇게 너무나 기초적인 기본기가 부족함을 절실히 깨달았다. 

 

8/16 화

author, URL next 인자, 로그인 권한 처리

회원가입...  음... 역시 중요하긴 중요하지. 그냥 sns auth 로 하면 더 간단하겠지만, 그래도 반드시 필요하고, 중요한 부분.

 

8/17 수

글 수정과 삭제. 그리 어렵진 않았으나, 중요한 만큼 많은 연습이 필요.

 

8/18 목

추천 기능 javascript 

  • 다대다 설정하면서, related_name 을 이해함.
  • error message 와 확인 메세지, 정렬 뭐 등등 기능을 하면서, javascript 학습 없인 안되겠다는 걸 느낌.
  • 뒷 부분은 거의 js 나 다듬기니까, 배포까지 끝내고, 자바스크립트를 학습하기로 결정함

 

8/19 금

빨리 마무리해가며, wsl2 우분투에 배포하기로 했다. 구니콘과 엔진엑스까지 따라하기로 한번에 돼서 +_+ 자바스크립트 공부해야지...

 

8/20 토

점프투장고/ 배포까지 마무리.( 갑자기 온갖 오류로 패닉에 빠졌지만, 개념을 명확히 하며 얻은 것이 많아졌다)

  • 물론, 아마존 aws 설정 그대로 따라하면 이런 오류는 없었겠지만...
  • 반복 연습을 위해서는 로컬 환경과 자체 서버환경을 학습하고 싶었다.
  • wsl2 우분투 환경에 띄우기. Gunicorn, Nginx 설정까지 순조로웠으나, 마지막 Postgre 설정에서 패닉. ㅠㅠ
     Gunicorn 실행시, 포트실행-소켓 실행 생각없이 따라하다가, 구니콘 재실행할 때는 8000 포트로 실행해놓고, nginx conf 는 그대로 소켓설정으로 돼있었던 것이 문제였다. ㅠ
    게다가, Postgre 는 전에 한번 설치한 적이 있었는데, 다른 버전이 추가 설치되면서 미해결 오류들이 불을 뿜었었다. 하.... ㅠㅠ  맘먹고 손대는거 아니면, 살짝 건드리다가 중단하는 짓은 하지 말자. 어찌됐건 미션 컴플릿.
  • 엔진엑스 서버 설정 복붙만 하고, 신경안썼었는데, 포트와 소켓설정. proxy_pass 등을 짚어보게 돼서 뿌듯

내용은 다 이해했으니, 레퍼런스 삼아서 반복연습하고, 살을 더 붙여나가야겠다.

자바 스크립트 학습이 매우 필수적이고, 급하다는 걸 깨달음.

출처: https://tourbiz.tistory.com/195?category=995281 [자바 PHP:티스토리]

댓글